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

[정보] 링키지랩은 어떤 회사?? / 카카오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by _느루 2020. 10. 10.

안녕하세요 느루 입니다!🙂
오늘은 우연하게 알게된 멋진 기업에 대해 소개해 드릴게요!
카카오가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주는 회사인거 같아 너무 멋있네요 :)


◎ "링키지랩" 회사는??

Linkage All Us!! : 모두를 연결하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하나로 연결되는 곳. 더 나은 세상!!
-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 연결(linkage)된 곳에서 다양한 일을 해보자는 의미를 담고있다고 합니다.

- 장애인들을 위한 안정된 일자리를 창출하고, 자립의 기반을 제공하기 위해 카카오가 설립한 자회사형 표준사업장입니다.
- 2016년 4월 27일 문을 열고 업무를 시작하였고 같은 해 6월 자회사형 표준사업장으로 인증받았다고 합니다.
- 올해 3월 기준 57명이 링키지랩에서 함께 일하고 있고, 지체.뇌병변.시각.청각.언어.신장.지적.자폐성.정신 장애인을 포함해 장애인 근로자의 비율이 74%나 된다고 합니다!

  •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 연결된 곳에서 더 많은 기회를 만들어가는 구조를 지향한다
  • 유니버설 디자인으로 설계된 환경에서 장애인들의 IT 전문성을 키워나간다
  • 더 나은 세상을 위해 장애인들의 잠재력을 발견한다
  •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이를 통해 더 큰 성장을 이룰 것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 링키지랩 직원들의 주 업무는?

카카오 및 카카오 공동체와 다양한 일을 함께하고 있습니다.

- 인터넷 서비스
검색운영파트 - 다음 검색 서비스의 키워드 분석과 모니터링 업무
다음(Daum) 검색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한다.
컴퓨터가 이해하지 못하는 데이터를 정제해 입력하는 다리 역할을 통해, 사용자에게 더 나은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다양한 '검색 키워드'들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해서 검색 품질을 높이는 작업을 하며, 유행어와 신조어를 그 누구보다 빨리 파악하는 구성원들이 함께하고 있다고 합니다. 장애도 관심사도 다른 사람들이 모였지만, 개개인의 장점을 살려 업무에 집중하고 각자가 전문가로 성장하면서 다음 검색 품질 개선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콘텐트 제작파트 - 카카오 서비스에 노출되는 다양한 콘텐츠를 직접 기획하고 제작
콘텐츠운영파트에서 제작한 다양한 콘텐츠는 매주 다음앱 운영자들의 선별 과정을 거쳐 다음앱과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사용자들을 만납니다.
파트 구성원  한 사람 한 사람이 콘텐츠 주제 선정부터 이미지 편집, 스토리텔링까지 전 과정을 담당하는 에디터로서의 역량을 발휘한다. 카트형 콘텐츠부터 직접 기획. 촬영하는 콘텐츠까지 장르와 형태를 넘나들며 트렌디한 콘텐츠를 만들어 낸다. 콘텐츠 관련 경력이 없는 구성원들이었지만, 서로가 부족한 면을 도우며 시너지를 냈다고 합니다.

웹 디자인 파트- 카카오톡 주문하기, 플러스친구 등 카카오 플랫폼에 필요한 웹 베너를 제작
다음쇼핑, 미즈쿡 배너와 카카오톡 주문하기 배너의 이미지뿐만 아니라, 사내 행사에 필요한 포스터 디자인 업무를 진행한다. 청각 장애를 가진 이소라 파트장을 중심으로 연령대도 장애도 다양한 파트원들이 모여 있는데, 구성원들끼리는 카카오톡, 수어 통역 등을 활용해 커뮤니케이션을 한다. 한 달에 한 번 디자인 교육 및 리뷰를 통해 역량 강화에도 힘쓴다고 합니다.

음성전사TF 파트 - 음성인식률을 높이는 목적으로 음성이 기게에 문자로 정확하게 변환되는지 확인
음성전사는 사람의 말소리를 듣고 글자로 옮겨 쓰는 것을 의미한다. 다양한 음성을 컴퓨터가 학습할 수 있도록 의미를 알려준다. 기계학습을 통해 음성 인식률을 더욱 정교화하는 게 음성 전사 TF의 목적이다.
사무직 진출이 어렵다고 여겨지는 발달장애인과 선청적 장애인부터, 사고로 인한 후천적 장애를 극복하고 사회에 복귀하신 분, 경력 단절 여성과 비장애인까지. 장애. 나이. 학력과 무관하게 업무 능력만으로 선발된 구성원들이 함께하고 있으며 지난해 10월 TF업무를 시작해 1분기 말을 기준으로 목표했던 업무량을 106.8% 초과 달성하는 성과를 이뤘다고합니다.

접근성파트 - 카카오의 서비스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Web/App 접근성을 테스트
카카오의 서비스를 누구나 잘 이용할 수 있도록 테스트하는 부서입니다. 장애가 있거나 전문적인 능력이 없더라도 모든 정보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 이외에도 컨설팅, 교육 등 접근성 관련 실무를 수행하고 관리하는 일을 합니다. 접근성팀에서는 시각장애인 직원이 QA(품질보증) 업무를 함께 담당합니다. 장애인차별금지법에만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장애인 입장에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개선한다.  장애인, 노약자 등 모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카카오 서비스로 발전하도록 힘쓰는 중이라고 합니다.

- 사내 복지 서비스
사내 카페 - 카카오 및 공동체의 사내 카페로 발달장애인 바리스타가 다양한 커피와 음료를 제공

톡클리닉파트(헬스 키퍼 )- 카카오 및 공동체 크루들을 대상으로 국가 공인 안마사가 헬스키퍼 서비스를 제공
IT 업무 특성상 카카오 크루들은 장시간 컴퓨터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로 인해 스트레스 , 피로 등이 쌓이면 업무 능률이 떨어질 수 있다.
톡클리닉파트는 지친 카카오 크루들을 위해 만족도 높은 안마 서비스를 제공한다.
헬스키퍼 (기업 등에 설치된 안마 시설에서 직원의 건강관리 등을 담당하는 국가자격 안마사) 서비스로 모두 국가공인 시각장애인 안마사이고  판교와 제주에서 총 5명이 근무한다고 합니다.



◎ 업무 환경은?

- 링키지랩에서는 그 누구에게도 직책과 직함이 없고 오로지 영어 이름으로 불린다고 합니다.
수평적인 조직 문화를 추구하고 있는 링키지랩은 모회사인 카카오의 영향을 받았고, 자율성과 차별없이 동등한 기회 제공을 위해 수평적인 문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서라고 하네요!
- 청각장애인 근로자들의 의사소통을 도와주는수화 통역사가 상주해 있다고 하네요
- 휠체어 타고 다니는데 문제가 없도록 모든 문턱을 없앴고, 전동 높낮이 책상을 도입하는 등 다양한 편의 시설을 갖췄고 그중 화장실은 공간이 넓은 것은 물론, 사무실 내부 벽면에 사용 여부와 비상호출벨을 눌렀을 때 바로 알아볼 수 있는 안내판을 설치해 편의를 돕고 있다고 합니다.
-  추가적인 업무 지식이나 공통의 관심 분야에 대해 자율적으로 공부하고 의견을 나눌 수 있도록 스터디 기회도 보장한다고 합니다!


링키지랩은 앞으로도 장애인 구직자들이 IT 없계에 더 많이 진출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  링키지랩 사이트
http://www.linkagelab.co.kr/#introduction




출처 : https://brunch.co.kr/@partnerswkakao/54





댓글